근정전은 경복궁의 정전으로 왕의 즉위식이나 대례식 또는 대신들과 조례를 하거나 사신 등을 영접하는 행사를 하는 곳이었다. 최근 뿌리 깊은 나무라는 드라마에서 겸사복 강채윤이 세종을 암살하기 위해 이곳의 거리를 재며 첫 회를 시작하면서 이곳이 다시 세간에 주목을 받게 되었다.
경복궁의 정전 근정전의 정면
근정전은 국보 제223호. 1395년(태조 4) 지은 건물이지만 임진왜란 때 불타버리고 1867년 고종 때 중건된 것이다. 2층의 목조건물로 신하들의 조하(朝賀)를 받던 곳이다. 근정전은 이단으로 된 월대(月臺) 위에 자리하며, 월대 주위의 돌난간에 새겨진 12지상(十二支像)은 정전 수호의 의미가 있다. 월대의 주위를 둘러싼 회랑은 홍례문의 좌우에서 시작해 향오문의 좌우로 연결되면서 근정문(勤政門)과 사정문(思政門)의 좌우에도 이어져 직사각형의 회랑은 모두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근정전의 좌우 회랑에는 동쪽에 융문루(隆文樓), 서쪽에 융무루(隆武樓), 그 북쪽에 동서행각문인 계인문(啓仁門)과 협의문(協義門)을 두었다. 근정전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2층 문루인 근정문의 좌우에 일화문과 월화문을 두어 권위성을 보여준다. 앞면 5칸, 옆면 5칸의 팔작지붕으로 아래층의 고주가 위층의 변주가 되는 구조이며, 창방·평방 위에 놓인 다포계의 공포는 외삼출목(外三出目)·내사출목(內四出目)으로 기둥머리마다 직각방향으로 튀어나온 안초공(安草工)을 두었다. 공포의 전체조형은 판재화하는 조선 후기 다포계 건물의 일반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천장은 대들보 윗부분부터 우물천장으로 천장 중앙에는 다포계의 천개를 설치하고, 개판에 운룡(雲龍)을 부조했다. 팔작지붕의 지붕마루는 모두 양성(兩城)을 했고, 용마루 양끝에는 취두(鷲頭)를, 추녀마루 위에는 용두(龍頭)와 잡상(雜像)을 올려놓았고, 사래 끝에는 토수(吐首)를 달아 위엄을 더했다. 조선시대 궁궐의 정전 중에서 가장 높고 규모가 크며, 조선 후기 다포계 건축의 특징을 대표하는 건물이다. (근정문에 대한 다음 백과사전 참조)
'사진과 글 > 건물과 유적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공예촌에서 만난 신라의 고택 (5) | 2011.12.16 |
---|---|
경주 공예촌 들어가는 길 (0) | 2011.12.15 |
한국고전건축의 짬뽕 국립민속박물관의 자태 (3) | 2011.12.06 |
경복궁 근정전의 또 다른 자태 (3) | 2011.12.04 |
뿌리깊은 나무 세종이 노닐던 경회루의 풍경 (4) | 2011.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