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메라정보

(60)
일본 대지진, 일본의 디카 제조사들의 피해상황은 어떤가? * 이 글은 미디어잇에서 퍼온 글입니다. 아무래도 사진을 찍는 분들이 알고 싶어하는 정보라 생각되어 여기 옮깁니다. 11일, 일본 동북부 태평양 바다 지점에서 진도 9.0의 강력한 지진이 발생했다. 일본을 강타한 이번 지진으로 인해 일본 연안의 산업 시설은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이에 따라, 일본 본토의 디지털 카메라 제조사들 역시 크고 작은 피해를 입게 되었다. 각 디지털 카메라 제조사들의 공지 및 일본 언론 발표 내용을 토대로 피해 상황에 대해 살펴본다. 니 콘 이번 지진으로 인해, 니콘은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다. 니콘 DSLR 카메라 최상위 모델인 D3 라인 업의 생산 거점이 미야기현 나토리 시에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니콘은 DSLR 카메라 생산 거점인 센다이 니콘 지점이 재해를 입어 전력, ..
사진강좌, 사진을 발명하게 한 카메라 옵스큐라란 무엇인가? 카메라 옵스큐라 cameraobscura 란? 사진기의 기원(起源)이자 카메라의 어원이 된 것은 기원 전에 출현한 카메라옵스큐라(cameraobscura;라틴어로 어두운 방이라는 뜻)인데, 이것은 어두운 방의 지붕이나 벽 등에 작은 구멍을 뚫고 그 반대쪽의 하얀 벽이나 막에 옥외의 실상(實像)을 거꾸로 찍어내는 장치를 말합니다. BC 3세기경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핀홀 상의 방법론’을 보면 어두운 방 벽면에 뚫린 구멍을 통해 들어온 빛으로 반대편의 벽면에 바깥 풍경이 역상으로 비치는 현상이라고 그 원리를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는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를 이용하여 좀 더 구체적인 원근법을 발표하였고, ..
카메라가 먼저 발명되고 사진의 원리가 뒤에 발견된 사연 1. 사진 발명인가 발견인가? 사진이 발명적인 요소도 있지만 발견적인 요소가 더 크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드물 것입니다. 발명은 전에 없던 것을 만들어낸 것이며, 물리적 기계적 측면을 강조한 것이고, 발견은 남이 미처 보지 못한 원리나 이를 찾아낸 것으로써 화학적 수학적인 측면이 강조된 것이라 할 수 있죠. 보통 어떤 원리가 발견되면 이를 이용한 발명이 잇따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런데 사진은 반대입니다. 먼저 카메라가 발명되었고, 이후에 이미지를 고정하는 사진적인 발견이 뒤따랐습니다. 물론 카메라 없이도 사진은 만들어집니다. 카메라가 먼저 세상에 나와 영상을 보게 한 다음, 화학적인 원리에 의해서 사진이 탄생된 것입니다. 그래서 사진은 발명에 앞서 발견을 이해하고 말해야만 사진의 본질을 알 수..
니콘 D7000 픽셀불량에 대한 대처, 이래서는 안된다 얼마전 제가 니콘이 최근 출시한 DSLR 보급기인 D7000에 대한 소개를 했습니다. 정말 제대로 된 보급기를 출시했다며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을 아끼지 않았더랬습니다. 관련글 ->- 니콘 D7000, 이번엔 니콘이 제대로 한 번 사고쳤다 그런데 제가 쓴 글 댓글에 한 분이 자신이 직접 촬영한 동영상을 올리셨는데, 그 동영상 정말 심각한 수준이었습니다. 주경이나 실외에서는 괜찮았지만 실내 특히 어두운 곳을 촬영할 때는 하얀 반점이 드러나는 누가봐도 확실한 픽셀 불량이더군요. 이 때문에 미국 대형 마트에서는 이 기종에 대해 판매정지를 한 상태라는 이야기도 들립니다. 그리고 최근 SLR클럽에서는 D7000의 픽셀불량에 관한 보고서가 계속 들어오고 있는데, 동영상뿐만 아니라 사진촬영 시에도 나타난다고 하더군..
니콘 D7000, 이번엔 니콘이 제대로 한 번 사고쳤다 이번에 니콘이 제대로 사고 한 번 쳤네요. 정말 제대로된 보급기를 내놓았습니다. 아니 중급기 같은 보급기라고 해야 할 것 같네요. 바로 보급형 DSLR 카메라 D7000입니다. D7000의 사양을 하나씩 뜯어보면 중급기라 봐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올초에 D90을 구입하셨던 분들이나 D300s를 구입하셨던 분들은 좀 억울하실 것 같습니다. 뭐 여기서 전문가들이 하는 이야기 그대로 옮겨봐야 그닥 마음에 와닿는 것이 없으실 것 같아 알기 쉽게 이 카메라의 성능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CCD는 1.5크롭입니다. 풀프레임은 아니네요. 풀프레임을 이 정도의 가격에 살 수 있음 얼마나 좋을까요? ㅎㅎ 그렇지만 화소가 장난이 아닙니다. 1620만 화소입니다. 2. ISO는 6400까지 지원하는데, 25600까..
새로운 발상, 재밌는 하이브리드 카메라 리코GXR 오늘은 하이브리드 카메라 중 리코GXR을 소개해드립니다. 신도리코에서도 카메라를 만드나 생각하실지 모르겠는데요, 아주 재밌는 카메라가 있습니다. 리코 카메라는 그리 대중적이진 않지만 그래도 이 제품을 써본 사람들은 매니아층을 형성할 정도로 독특한 점이 있습니다. 특히 접사에 있어서는 리코의 똑딱이 카메라도 거의 DSLR급의 능력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리코하면 접사 전문 카메라라고 생각하죠. 이 리코에서 신개념의 하이브리드 카메라를 만들었습니다. 바로 GXR입니다. 이 카메라를 두고 왜 신개념이라고 하는가? 일단 어떻게 생겼는지 먼저 모시죠. 이렇게 생겼습니다. 외관상으로 다른 하이브리드 카메라와 별 다를 것이 없어 보입니다. 그런데 이 녀석을 분해하면 이렇게 됩니다. 뭔가 다르죠? 다른 카메라는 바디에 ..
소녀시대의 발랄함을 지닌 매력의 DSLR, 펜탁스 K-X 펜탁스 DSLR, 소녀시대의 감성을 가진 펜탁스K-X 펜탁스 하면 딱 떠오르는 것이 붉은 색을 표현하는 최고의 카메라와 중후한 색감. 그런 것인데, 올해 펜탁스는 그런 무거움을 벋고 경쾌하면서도 발랄한 보급기를 선보였습니다. 마치 DSLR계의 소녀시대를 보는 듯하다고나 할까요? 누가 그러더군요. 왜 DSLR의 외관은 시커머야 하는가? 펜탁스는 이 편견을 치워버리고, 화사한 컬러로 무장한 K-x를 선보였습니다. 바디 컬러가 무려 20종에다 다양한 그립색상으로 100가지의 색상조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죠. 사진을 보심 이거 진짜 DSLR인가 싶으실 것입니다. K-x는 보급기 K-m의 후속 기종으로 1,240만 화소의 입문자용 DSLR카메라입니다. 그런데 성능은 거의 중급기를 따라가고 있습니다. 일단 셔터속도..
DSLR 렌즈의 이해, 도대체 어떤 렌즈를 사야하는가? DSLR 렌즈의 이해, 렌즈의 추천과 구입, 어떤 렌즈를 사야하는가? DSLR에서 가장 고민되는 것 중 하나는 바로 렌즈의 선택입니다. 처음에 바디만 사면 다 되었다고 생각했는데, 바디보다 렌즈가 가격이 더 비싼 것을 보고 이거 잘못 발을 디뎠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가 어느새 자신에게도 지름신이 강림해있는 것을 보고는 경악을 금치 못하지만 이미 이 늪에서 빠져나오기는 틀렸다는 생각에 좌절하기도 합니다. (위 사진은 니콘의 수동렌즈들입니다. 니콘은 이런 수동렌즈들도 대부분 마운트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일안반사식(digital single-lens reflex)를 의미하는 DSLR은 3.2분의 1인치(약 7∼8㎜) 크기부터 35㎜ 풀프레임까지 다양한 크기의 이미지 센서가 사용되며, 렌즈의 종류 ..